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편 — 미국 진출 시 꼭 알아야 하는 규제와 컴플라이언스

by 헬리와함께 2025. 8. 21.

 

🛡️ 2편 — 미국 진출 시 꼭 알아야 하는 규제와 컴플라이언스

제품력만큼 중요한 건 ‘규제 대응력’

 

 

2025.08.15 - [분류 전체보기] - 1편 — 2025 북미 스킨케어 시장 전체 지도

 

 

1편 북미 스킨케어 시장 전체 지도 이미 보신분들 많으시죠? 😎

 

오늘은 2편 미국 진출 시 꼭 알아야 하는 규제와 컴플라이언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1. 왜 규제가 중요한가?

 

미국 시장은 매출 잠재력이 큰 만큼 규제 위반 시 리스크도 매우 큽니다.

제품 회수(리콜), 벌금, 판매중단, 브랜드 이미지 훼손까지 이어질 수 있죠.

특히 2024년부터 본격 시행된 MoCRA(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로 인해, 미국 화장품 시장의 ‘게임의 룰’이 크게 바뀌었습니다.

 

 


 

2. MoCRA 핵심 정리

📌 MoCRA란?

  • 1940년대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던 미국 화장품 규제를 현대화한 법.
  • 2022년 12월 제정, 2024년 7월 1일부터 본격 시행.

 

 

🗂️ 핵심 요구사항

  1. 시설 등록
    • 제조·포장·라벨링 시설은 FDA에 등록 필수.
    • 2년마다 갱신.
  2. 제품 리스트 제출
    • 판매되는 모든 제품을 FDA에 등록.
    • 성분·브랜드·라벨 정보 포함.
  3. GMP(우수 제조관리기준)
    • 안전·위생 기준을 충족하는 제조 환경 필요.
    • 시행 시점: 2025년 10월 예정(연기 가능성 있음).
  4. 부작용 보고
    • 심각한 부작용 발생 시 15일 이내 FDA에 보고 의무.
  5. 기록 보관
    • 제품 제조·안전성 자료 3년 이상 보관.

 

 


 

 

3. 라벨링 & 성분 규제

🏷️ 라벨 필수 항목

✔️ 제품명, 용량, 전성분(성분명은 INCI 기준), 사용법, 제조/수입업체명, 주소, 제조국.

 

✔️ 영문 표기 필수, 일부 항목은 소비자 이해를 위해 추가 설명 권장.

 

 

🌿 성분 규제 포인트

✔️ 향 알레르겐: EU처럼 알레르기 유발 가능 향 성분 표기 강화 추세.

 

✔️ 캘리포니아 Proposition 65: 발암·생식독성 우려 성분 포함 시 경고 문구 의무.

 

✔️ 캘리포니아 Safe Cosmetics Act: 특정 화학성분 보고 의무.

 

 


 

4. 위반 시 실제 사례

 

  • 라벨 미준수: 성분명 누락 → FDA 경고장 + 전량 리콜.
  • 부작용 미보고: 소비자 화상 사례 보고 누락 → 판매 중단.
  • 허위 효능 표기: ‘의약품’으로 간주되어 FDA 의약품 규제 적용.

 

 


5. 미국 진출 전 체크리스트

항목질문완료 여부

시설 등록 제조·포장·라벨링 시설이 FDA에 등록되었나?
제품 리스트 모든 SKU의 성분·라벨 정보가 FDA에 제출되었나?
라벨링 영문 라벨이 MoCRA·FTC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가?
GMP 제조 환경이 FDA GMP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가?
성분 알레르겐·Proposition 65 대상 성분 여부 확인했나?
부작용 보고 부작용 발생 시 보고 체계가 마련되어 있나?

 

 

 


 

6. 실무 팁

  • FDA 공식 가이드는 반드시 북마크: FDA Cosmetics Overview
  • 라벨·성분 검토는 미국 법률·규제 전문 컨설턴트와 협업 권장.
  • 초기 진출 시엔 MoCRA + 주별 규제를 동시에 체크해야 함.
  • 효능 표현은 과장 없이, 임상 근거 자료를 확보한 후 사용.

 

 

 


7. 마무리

 

미국 시장은 ‘제품 잘 만드는 것’보다 안전하게 파는 것이 먼저입니다.

MoCRA 이후, 규제는 단순 장벽이 아니라 브랜드 신뢰를 높이는 필수 요소가 되었죠.

 

다음 편에서는 북미에서 터진 K-뷰티 브랜드 성공 사례를 깊이 분석하면서, 어떤 전략이 실제로 먹히는지 살펴볼 거예요.

 

 

 

 

💡 다음 편 예고

[3편 — 북미에서 터진 K-뷰티 브랜드 완전 해부]

ANUA, medicube부터 TIRTIR까지, 성공 공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