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어권 고객을 사로잡는 스토리텔링 구조 3가지 (AIDA·PAS·FAB)

by 헬리와함께 2025. 8. 19.

 

왜 스토리텔링이 중요한가?

 

영어권 시장에서 브랜드를 알릴 때, 단순히 “좋은 제품”이라는 메시지만 던져서는 고객 마음을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특히 북미, 유럽 시장은 스토리와 감성, 그리고 구조화된 메시지에 반응하는 소비자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케터들은 AIDA, PAS, FAB와 같은 마케팅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메시지를 설계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프레임워크를 한국 브랜드에 적용한 실제/가상 사례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영어권 고객을 사로잡는 스토리텔링 구조 3가지 (AIDA·PAS·FAB)
영어권 고객을 사로잡는 스토리텔링 구조 3가지 (AIDA·PAS·FAB)

 

 

 

 

 

1. AIDA – 고객을 단계별로 끌어들이는 스토리

 

AIDA는 Attention → Interest → Desire → Action의 약자입니다.

말 그대로 ‘관심을 끌고 → 흥미를 유지시키고 → 욕구를 자극한 뒤 → 행동으로 이끄는’ 흐름이죠.

 

 

예시: K-Beauty 브랜드의 북미 진출 광고

 

1-1. Attention (관심)

✔️ Hook 문구: “Ever wondered why Korean skin glows even in winter?”

눈길을 사로잡는 질문형 오프닝.

 

 

1-2. Interest (흥미)

✔️ 한국의 겨울 피부관리 루틴과 전통 원료(예: 쌀겨, 녹차)를 소개.

“For centuries, Korean women have relied on fermented rice water to keep their skin luminous.”

 

1-3. Desire (욕구)

✔️고객이 갖고 싶게 만드는 장면 연출 :

 B&A 사진, 실제 사용 후기, 피부결 변화를 강조.

 

 

1-4. Action (행동)

“Shop now and feel the glow in just 2 weeks — Free shipping to the U.S. this month only.”

 

 

 

💡 포인트: 영어권 고객은 ‘스토리 있는 문제 해결형 제품’을 좋아합니다.
AIDA를 쓰면 SNS 광고와 랜딩페이지 모두 구조가 깔끔해집니다.

 

 

 


 

 

2. PAS – 문제로 시작하는 강력한 설득법

 

PAS는 Problem → Agitation → Solution의 약자입니다.

 

특히 스킨케어·헬스케어·라이프스타일 제품에서 효과적입니다.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심화시켜 감정에 호소한 뒤, 해결책을 제시하는 구조입니다.

 

 

 

 

예시: 여드름 패드 제품 홍보

 

2-1. Problem (문제)

“Breakouts that keep coming back no matter what you try?”

공감 유발, 문제 인식.

 

 

 

2-2. Agitation (문제 심화)

“You cover them up with makeup, but the bumps and redness always show through — and it hurts your confidence.”

문제를 구체적으로 묘사, 감정적으로 자극.

 

 

 

2-3. Solution (해결)

“Our Trouble Control Pad uses a patented Korean dual-exfoliation system to remove pore-clogging impurities without irritating your skin.”

 

 

 

 

💡 포인트: 영어권 광고에서 ‘문제 심화’ 단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한 불편함을 ‘감정적 상처’로 연결시키면 반응이 급상승합니다.

 

 


 

3. FAB – 기능에서 혜택으로 전환

 

FAB는 Feature → Advantage → Benefit입니다.

한국 브랜드가 해외에 진출할 때 흔히 하는 실수는 제품의 기능(Feature)만 나열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영어권 고객은 “그게 나한테 어떤 이익이 있는지(Benefit)”를 더 중요하게 봅니다.

 

 

예시: 발효 에센스

 

3-1. Feature (기능)

“Contains 95% fermented yeast extract.”

 

 

 

3-2. Advantage (장점)

“Fermentation breaks down nutrients into smaller particles, allowing deeper skin absorption.”

 

 

 

3-3. Benefit (혜택)

“Your skin feels plump, hydrated, and radiant — all day long.”

 

 

 

💡 포인트: 영어권 마케팅 카피에서는 Benefit을 고객의 삶의 변화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단순히 “피부가 좋아진다”가 아니라, “Confidence to walk into any room makeup-free”처럼 결과를 그려줍니다.

 

 

 

 


💡정리 – 한국 브랜드의 글로벌 스토리텔링 팁

 

  • AIDA: 주목 → 흥미 → 욕구 → 행동, SNS 광고·이메일·랜딩페이지에 적합.
  • PAS: 문제 → 감정 자극 → 해결책, 특히 뷰티·헬스케어에서 강력.
  • FAB: 기능 → 장점 → 혜택, 제품 상세페이지·세일즈 피치에서 효과적.

 

 

 

📌 마지막 팁:

한국 브랜드가 영어권 시장에서 스토리텔링을 할 때, ‘전통’과 ‘혁신’을 동시에 넣으면 효과가 좋습니다.

예를 들어, “Inspired by a 500-year-old beauty ritual, powered by modern Korean biotechnology” 같은 문구는 과거의 신뢰성과 현재의 과학적 설득력을 모두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