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틱톡샵2

1편 — 2025 북미 스킨케어 시장 전체 지도 🌎 2025 북미 스킨케어 시장 전체 지도가성비·프리미엄, 두 흐름이 부딪히는 지금, 시장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1. 북미 스킨케어 시장, 얼마나 크고 어떻게 변하고 있나? 2024년 미국의 프리스티지(백화점·전문 채널) 뷰티 매출은 339억 달러를 기록했어요.전년 대비 +7% 성장이었으니 꽤 견조하죠.하지만 2025년 들어 분위기가 살짝 바뀌고 있습니다. 📉 프리스티지 채널은 성장세가 주춤한 반면,📈 매스 채널(드럭스토어·대형마트)은 +3% 성장하며 수년 만에 주도권을 잡았어요.→ 소비자들이 다시 ‘가성비’를 찾기 시작했다는 신호예요. 전 세계적으로 봐도 뷰티 시장은 여전히 고성장 중입니다.2030년까지 매년 약 5% 성장할 전망이고, 특히 스킨케어는 +6%로 모든 카테고리 중 가장 빠.. 2025. 8. 18.
한국어 감성 번역, 이렇게 하면 망한다! 영어 번역에서 흔히 하는 실수 7가지 직역과 의역 사이, 문화적 뉘앙스의 함정 한국 브랜드가 해외로 진출할 때, 제품의 품질만큼 중요한 것이 언어입니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K-Beauty, K-Food, K-Content가 주목받는 지금, 마케팅 문구 하나로 인상을 결정짓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런데, 많은 브랜드들이 ‘번역’을 단순히 언어를 바꾸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다 보니, 한국어의 섬세한 감성이 영어에서 그대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제가 북미 시장 관련 업무를 하면서 직접 보고 느낀, 한국어 감성 번역의 함정을 7가지로 정리했습니다.잘못 번역된 실제 사례와 함께, 어떻게 하면 더 자연스럽고 매력적인 영어로 바꿀 수 있는지도 알아볼게요 ! 1. 직역의 함정 – 문법은 맞지만 감성이 죽는다❌ 잘못된 예:• 한국어: “피부.. 2025. 8. 16.